팁 32bit floating . 으로 인풋 게인 없이 만드는게 무슨 원리 일까 궁금한 사람들 좀 있을듯?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32bit floating . 으로 인풋 게인 없이 만드는게 무슨 원리 일까 궁금한 사람들 좀 있을듯?
일반적으로 마이크 프리앰프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125-130dB 정도 됩니다. 즉 노이즈 플로어와 Max input 레벨 사이의 range 가 그렇다는것입니다.
근데 문제는 A/D 컨버터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그렇지 못합니다. 높아 봤자 110dB 정도 되죠..
근데 32bit floating 으로 기록하면 마이크 프리의 다이내믹 레인지 인 130dB 의 데이터를 floating 포맷 특유의 손실 없는 RE-scaling (제가 만든 표현입니다 죄송) 을 통해서 110dB 로 줄여 넣을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32bit 부동 소수는 24bit integer(정수 데이터) + 8bit floating(배율) 로 이루어 져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24bit + 부동소수 배율을 한 0.8배로 설정해서 저장하면
130 * 0.8 = 104dB
즉 24bit 의 정수 데이터엔 아무런 손실 없이 130dB 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부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다음 녹음하고 나서 기록된 데이터의 다시 부동소수의 배율만 다시 조정해서 키우면 그만.
130 * 1 = 130dB
아래는 32bit floating recording 을 지원하는 기기들.
ZOOM F2

ZOOM F6

ZOOM F8N pro

ZOOM F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