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
[홈레코딩 필독서]"모두의 홈레코딩"구매링크
가성비 있는 녹음실 찾으시나요? 리버사이드 재즈 스튜디오에서 녹음하세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 [2025/01/10] 정승환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 [2025/05/03] (현재) – [결론] 정승환
줄 27: 줄 27:
 FET는 진공관 소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회로일 뿐**이며, 특히 진공관과 FET의 신호 클리핑이나 새츄레이션 성향은 각각 소프트 클리핑과 하드 클리핑으로 매우 다릅니다. 특히 출력 트랜스포머의 설계 사이즈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생성되는 THD 성향도 매우 다릅니다.((FET는 고음역대에 THD가 더 많이 끼기 때문에 치찰음이나 과도한 경향이 많습니다. 만약 트랜스포머가 성능이 딸리게 되면 깡통같은 톤을 내주기도 합니다.)) FET는 진공관 소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회로일 뿐**이며, 특히 진공관과 FET의 신호 클리핑이나 새츄레이션 성향은 각각 소프트 클리핑과 하드 클리핑으로 매우 다릅니다. 특히 출력 트랜스포머의 설계 사이즈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생성되는 THD 성향도 매우 다릅니다.((FET는 고음역대에 THD가 더 많이 끼기 때문에 치찰음이나 과도한 경향이 많습니다. 만약 트랜스포머가 성능이 딸리게 되면 깡통같은 톤을 내주기도 합니다.))
  
-또한 진공관 마이크의 경우는 외부 파워 서플라이를 통한 충분한 전력 공급으로 인해 캡슐 충전 전압((60V))이 굉장히 충실하지만, FET 마이크의 경우는 48V 팬텀 전원으로 임피던스 컨버터 회로구동에 추가로 캡슐 전원까지 충전((48V 충전 또는 DC to DC 회로로 60V 승압 충전)) 해야하기 때문에 때때로, 전력 공급의 불안정성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또한 진공관 마이크의 경우는 외부 파워 서플라이를 통한 충분한 전력 공급으로 인해 캡슐 충전 전압((60V))이 굉장히 충실하지만, FET 마이크의 경우는 48V 팬텀 전원으로 임피던스 컨버터 회로구동에 추가로 캡슐 전원까지 충전((48V 충전 또는 DC to DC 회로로 60V 승압 충전)) 해야하기 때문에 때때로, 전력 공급의 불안정성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부 브랜드들의 경우 캡슐 사이즈를 줄여서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공관과 FET는 음색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차이가 존재 합니다.** **진공관과 FET는 음색뿐만 아니라 상당히 많은 차이가 존재 합니다.**

[공지]회원 가입 방법
[공지]글 작성 및 수정 방법

정승환_컬럼/tube_마이크_vs_fet_마이크.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5/05/03 저자 정승환